들어가며
- 습관을 들이기 위해 하루 하루 일지를 작성할 예정
Code,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에 숨어 있는 언어 [찰스 펫졸드]
피드백과 플립플롭
음…
Oscillator 오실레이터; 전동자
.. 학부때 분명히 공부를 했던 기억이 있는데… 어떤 것이었는지 정확하게 기억이 나진 않는다…인버터를 한개로 구성하고 인버터의 출력을 인버터의 입력으로 물린 후 입력을 넣으면 어떻게 될까?
0, 1, 0, 1로 신호가 반복될 건데.. 이거를
오실레이터
라고 책에서 설명 한다. 뭐지 분명히 공부했는데 이 새로운 느낌은?보통
오실레이터
=클럭
이라 부르며 동일한 뜻오실레이터가 0, 1, 0, 1로 반복하는데, 여기서 처음 시작한 부분에서 상태가 바뀌었다가 원래 상태로 돌아올때, 그때를 주기라 한다.
주기의 역수로 초당 몇 사이클이 순환하는지 알 수 있는데, 이때 초당 사이클을
헤르츠, hz
라 표현한다..
오… 오… 오… 하다가 플립플롭부터, 플립 플롭을 이용한 1bit 메모리, 그리고 카운터까지 나와버리자.. 정신을 놓아 버렸다.. 기본 적인 원리는 이해가 되지만, 이론적인 내용이 합쳐저 더 큰 개념으로 조합되니까 재밌는데 이해가 잘 되지 않네…ㅠㅠ
바이트와 16진수
- 비트 단위는 0, 1 두가지 상태를 나타낼 수 있다는 것은 이미 알고 있다. 그런데, byte 단위인 8bit는 왜 하필 byte는 8bit 일까?
- 생각치도 못한 질문이다…
바이트는 부호가 있을 경우 -128~127 숫자 범위를 표현 가능하고, 부호가 없을 경우 0~255까지 양수를 표현 가능하다. 그런데, 이 256가지라는게, 아주 우현이도, 세계 대부분 문자를 저장하는데 아주 이상적인 크기이며, 흑백사진의 회색조를 표현하는데도 아주 이상적이란다. 사람의 눈이 대략 256가지의 명암을 구분 가능하기 때문이다.
- 4byte = nibble 이라 한다.
테스트 주도 개발로 배우는 객체 지향 설계와 실천 [스티브 프리먼, 냇 프라이스]
실용주의 프로그래머 [앤드류 헌트, 데이비드 토머스]
프로젝트 전에
격언
완성이라는 것은 더 이상 더할 것이 없을 때가 아니라, 더 이상 빼낼 것이 없을 때 얻게 되는 것이다. - 생텍쥐페리
Reference
- 찰스 펫졸드, 『 Code,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에 숨어있는 언어 』, 인사이트(2010 10 11), 인용.
- 스티브 프리먼, 냇 프라이스 지음, 이대엽 옮김, 『 테스트 주도 개발로 배우는 객체 지향 설계와 실천 』, 인사이트(2013 06 20), 인용.
- 앤드류 헌트, 데이비드 토머스 지음, 김창준, 정지호 옮김, 『 실용주의 프로그래머 』, 인사이트(2005 08 02), 인용.